불확실성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불확실성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한 달여 전에 “뉴튼 이래 인간의 자연관에 가장 극적인 변화 중 하나를 불러온 발견”이라고 교토상 선정위원회가 극찬한 “카오스 이론”의 창시자인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E. Lorentz)”가 사망했다.필자의 기억으로는 “카오스 이론”이 일반대중에게 알려지게 된 계기는 모 가전회사에서 세탁기를 홍보하면서부터 일 것이라 생각한다. 당시 필자는 공학도로써 “카오스 이론“에 관한 책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최근에는 투자전문가들이 예상치 못한 주가의 폭락 등을 설명하기 위해 카오스 이론의 모태인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를 차용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사회현상에 대한 예측이 대단히 어렵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특히, 오늘날과 같이 세계화, 정보화, 자원고갈 및 지구온난화 등이 급진전되고 있는 사회에서는 지식의 양이 폭증하고 지식의 반감기가 크게 축소되면서 불확실성은 심화되고, 장래를 예측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한다.이와 같이 스피드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어느 한 개인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절대량 보다는 어디에 어떤 지식이 있는지를 알고 필요할 때 신속히 찾아내 활용할 줄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