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5.2℃
  • 맑음서울 1.5℃
  • 맑음대전 0.7℃
  • 맑음대구 1.8℃
  • 맑음울산 4.2℃
  • 맑음광주 4.6℃
  • 맑음부산 7.6℃
  • 맑음고창 0.2℃
  • 맑음제주 7.3℃
  • 맑음강화 0.9℃
  • 맑음보은 -2.2℃
  • 맑음금산 -1.1℃
  • 맑음강진군 2.5℃
  • 맑음경주시 -0.2℃
  • 맑음거제 4.0℃
기상청 제공

제주올레, 자연 이상의 디자인은 없다

 
요즘 “제주올레”가 뜨긴 떴나 보다. 어느곳을 가더라도 “올레길” 이야기가 꽃을 핀다. 이 올레길은 (사)제주올레에서 개척한 도보 여행자를 위한 길이다.

나조차도 “제주올레”가 뭔지 몰랐었던 시절이 있었고 차츰 올레길이 알려지기 시작했을 때에도 “어릴적부터 봐왔던 주변 풍광들인데 뭐가 달라“라고 생각도 가졌었던지라 사람들이 이렇게 많이 찾아 올 거라고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었다.

그러나 여유를 갖고 한코스 한코스를 걸어보니 “제주에 이렇게 아름다운 곳이 있었구나” 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며 왜 사람들이 올레길에 반해 제주에 오는지 알 수 있었다.

서귀포시는 “제주올레”를 행정지원하기 위해 지난 ‘09. 2월 슬로관광도시육성팀을 구성하여 행정지원을 하고 있다. 서귀포시 제주올레 코스는 성산읍 시흥리를 시작하여 대정읍 신도리까지 총 13개 코스 약210km로 이어져 있다.

이 올레길은 현재 제주시로 넘어가 15코스가 12월 말에 선보일 예정이며 장기적으로는 걸어서 제주도를 한바퀴 돌 수 있도록 걷는 길을 내는 것이 (사)제주올레의 목표라고 하니 이 또한 기대가 된다.

지금 서귀포시에는 올레꾼들로 넘쳐나고 있다. 올레길을 걸으러 우리시에 장기 숙박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코스 인근에 있는 숙박업소, 골목상점, 음식점 등이 그야말로 올레꾼 특수를 누리고 있다. 요즘엔 어딜가도 “올레꾼 환영”이라는 현수막도 쉽게 볼 수 있다.

올레길을 걸으러 왔던 몇몇사람은 올레길의 풍광과 서귀포의 아름다움에 반해 서귀포에 정착한 사람들도 생기고 있다는 소식에 제주올레가 지역경제는 물론 인구유입에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 또 한번 놀라게 되었다.

그야말로 핫이슈가 된 이 올레길에 기반시설 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나로서는 언론, 주민, 관광객들에게서 올레길에 관한 불편사항 얘기만 나오면 얼굴이 뜨거워지고 어떻게 하면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까 하고 고민하고 또 고민하게 된다.

주위에서는 기대보다는 많은 우려를 하고 있지만 제주올레의 “자연 이상의 디자인은 없다”라는 트렌드에 맞춰서 친환경적인 돌담화장실, 안내소, 최소한의 표지판 설치로 안전하고 편안한 올레길 조성에 힘쓰고 있으며, 앞으로 계획 중인 시멘트길을 흙길로 복원하는 사업 등이 원활하게 추진되면 보다 더 걷기 편한 길, 보다 더 안전한 길로 업그레이드 된 올레길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올레길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되면 제주가 전세계 도보여행자들이 찾는 곳으로 변모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본다.


서귀포시청 슬로관광도시육성팀 강기훈.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 안전감찰 전담기구 정기회의 개최…안전 강화 방안 논의
제주특별자치도가 재난관리책임기관들과 함께 올해 안전감찰 성과를 점검하고, 기후변화와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내년도 안전관리 방향을 논의했다. 제주도는 26일 오후 2시 제1청사 환경마루에서 ‘2025년 안전감찰 전담기구 협의회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시, 공공기관 등 재난관리책임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기관별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주요 논의 사항으로는 재난관리체계, 기후위기 대응 기반시설 및 공공건축물의 안전관리 실태 등이 제시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이러한 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공공건축물 공사장, 사회복지시설, 호우·대설 재난 대응체계 점검 등 2026년 안전감찰 추진 방안을 모색하였다. 더불어 각 기관은 감찰·감사·점검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개선이 필요한 제도적·현장적 요소를 공유했다. 또한 실제 안전감찰 사례를 중심으로 효과적 개선 방안을 협의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재난관리책임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력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핵심 요소”라며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20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