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농촌관광의 성공예감, 난장(亂場)

 
지난 1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이틀간 대정읍 무릉2리에서 농촌생태문화 체험행사인 ‘난장(亂場)’이 열린 바 있다. ‘난장’이란 조선시대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정기적으로 열리는 5일장 이외에 특수지역 또는 특정 농수산물이 한꺼번에 많이 생산되는 지방에서 난장이라는 부정기적인 장이 열리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때 난장을 여는 것을 '난장을 튼다'라고 하였으며, 난장과 비슷한 형태로는 황해도 연평의 조기 파시(波市)와 대구 약령시(藥令市)를 들 수 있다.

올 해로 2회째인 ‘난장’행사는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행사를 기획하고,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한데 어우러져 즐기고 체험하는 행사로써, 「아! 옛날이여 ~ 얼쑤, 무릉도원이구나」라는 주제를 가지고 옛 무릉동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체험행사와 볼거리가 마련되었다.

행사내용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고인돌 나르기, 돌도끼 만들기 등의 선사인 생활체험, 그리고 연자방아 돌리기, 벼 (클)타작, 도께질 등의 농사체험과 집줄놓기, 고래골기, 우마차타기, 고구마캐서 구워먹기 등 농촌문화체험을 비롯하여 제주올레 11코스인 무릉곳자왈 탐방행사도 이루어졌다.

또한 행사장 입구에 마련된 동네풍물전시회에는 ‘50년대 초등학교 졸업사진부터 새마을운동 관련 사진, 초가집을 배경으로 한 결혼식장면 등 빛 바랜 사진 수 십점과 옛 물건, 주민들이 손수 만든 목공예품, 조각품이 함께 전시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잠시나마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하였다. 이와 더불어 행사장 한 켠에는 지역주민이 직접 재배하고 만든 된장, 간장을 비롯하여 메밀, 좁쌀 등 친환경농산물을 내다 파는 장(場)을 열기도 하였다.

농촌관광은 세계적인 추세에 놓여 있다. 그동안 산업화와 경제개발 논리에 밀려 소외돼온 농촌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농촌을 단지 식량을 공급하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넘어 휴양과 휴식의 공간, 전통문화가 있는 곳, 자연학습의 장, 우리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다원적 기능 이외에도 경관제공, 공기정화, 수질개선, 담수기능 등 농촌은 무한한 공익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는 금번 ‘난장’행사를 통하여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체험하면서 즐거워하는 모습에서 농촌관광의 성공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농촌은 농촌다움을 유지하면서 지역적인 특색을 발굴하고 가꾸어 나가야 한다. 각 마을마다 갖고 있는 고택, 폐교 등의 건축물과 연못, 돌담길, 정자목 등의 자연형상물, 효자·효부비 등 유·무형의 부존자원을 적극 활용하면서 그 속에 담겨있는 이야기를 스토리텔링화하여 효과적인 마케팅과 접목한다면 농촌관광이야말로 발전 가능성이 무한한 산업이 아닌가 생각된다.

서귀포시 대정읍 산업담당 오승언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보건소,‘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실시
제주보건소는 지난 18일 보건교육실에서 ‘2025년 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생물테러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이용해 인명 살상이나 질병 유발을 목적으로 사회 붕괴를 의도하는 테러 행위를 말한다. 현재 법정 생물테러감염병은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마버그열,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두창, 야토병 총 8종이 지정돼 있다. 이번 훈련은 생물테러(의심) 사건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과 초동대응요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훈련에는 도내 6개 보건소를 비롯해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관계자 60여 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기관별 역할을 숙지하는 이론교육과 함께 ▲생물테러 대응절차 실습, ▲개인보호복(Level A·C) 착·탈의, ▲다중탐지키트 사용 및 검체 이송 등 실제 상황을 가정한 실습 훈련을 병행했다. 특히, 제주보건소는 ‘생물테러 현장 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훈련을 진행했으며, 기관별 의견 수렴과 협의를 통해 실제적이고 유기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박주연 감염예방의약과장은 “이번 훈련은 초동대응요원의 현장 대응력과 유관기관 협력체계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