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9 (토)

  • 맑음동두천 -1.4℃
  • 맑음강릉 5.1℃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0.2℃
  • 맑음대구 1.1℃
  • 맑음울산 3.9℃
  • 맑음광주 3.9℃
  • 맑음부산 7.0℃
  • 맑음고창 -0.1℃
  • 맑음제주 6.7℃
  • 맑음강화 0.1℃
  • 맑음보은 -2.4℃
  • 맑음금산 -1.6℃
  • 맑음강진군 1.3℃
  • 맑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3.5℃
기상청 제공

감성을 파는 표선민속오일시장

 
‘08년 12월부터 시작된 표선민속오일시장 장옥신축공사가 올해 8월 장옥건물 전체가 완공되어 상인들은 새 장옥으로 입주를 하였다.

표선민속오일시장은 서귀포시 동부권 상권의 중심축을 이루는 시장으로서 불과 10여 년 전 까지만 해도 인근 성산읍 및 남원읍 일부지역의 주민까지도
표선 민속오일시장을 애용하여 그 규모가 산남쪽에서도 손을 꼽을 정도로 문전성시를 이뤘었다.

그러나 교통의 발달과 대형마트의 출현으로 재래시장 특히 읍·면에 위치한 오일시장은 점점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이는 젊은층의 소비구조의 변화와 대형마트의 대형화 및 규모화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한 시대변화의 흐름을 따라잡는데 읍·면에 위치한 오일시장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소비자의 규모적 한계, 그리고 열악한 시설, 볼거리 등 대형마트와의 경쟁은 흡사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으로 비견될 수 있다.

이러한 무모한 싸움을 표선민속오일시장은 이제 시작하려 한다.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깨끗한 장옥시설과 쾌적한 환경, 요새 유행하는 볼거리를 위한 장소 마련 등.

쾌적한 환경을 위해 오일장내 정자시설 및 주변공원을 정비하였으며
우리 표선면의 자랑거리인 대형 하귤나무 등을 오일장 주변공간에
배치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였으며 최신식 화장실을 설치하여 이용객들에게 불편이 없도록 청결한 장소로 탈바꿈을 하였다.

또한 오일장을 찾아오고 싶고, 보고 싶은 만남의 장을 마련하고자 상시 공연 및 행사를 치룰 수 있도록 공연장을 마련하여 오일장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도 제공할 계획이다.
덧붙여 시장의 상징인 대형아치 간판도 10월 22일 건립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표선민속오일시장은 기존의 상행위만의 장소가 아니라 주민들에게 문화와 예술을 제공하는 장소의 변화와 함께 지역주민들에게 한 발짝 다가서는 서민 밀착형 만남의 장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멍석은 깔렸고 이제 신명나게 춤을 추는 일만 남았다. 새로운 공간의 마련과 함께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 그리고 상인들의 친절한 태도 등 상인과 지역소비자 행정의 3위 일체가 되어 감성을 파는 표선오일시장을 운영한다면 대형마트의 물량공세는 더 이상 두려운 상대가 아닐 것이다.

착한 상인과 착한 소비자가 조화를 이룬다면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인 오일시장과 대형마트와의 경쟁은 충분한 승산이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서귀포시 표선면 산업담당 유지호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 안전감찰 전담기구 정기회의 개최…안전 강화 방안 논의
제주특별자치도가 재난관리책임기관들과 함께 올해 안전감찰 성과를 점검하고, 기후변화와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내년도 안전관리 방향을 논의했다. 제주도는 26일 오후 2시 제1청사 환경마루에서 ‘2025년 안전감찰 전담기구 협의회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시, 공공기관 등 재난관리책임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기관별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주요 논의 사항으로는 재난관리체계, 기후위기 대응 기반시설 및 공공건축물의 안전관리 실태 등이 제시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이러한 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공공건축물 공사장, 사회복지시설, 호우·대설 재난 대응체계 점검 등 2026년 안전감찰 추진 방안을 모색하였다. 더불어 각 기관은 감찰·감사·점검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개선이 필요한 제도적·현장적 요소를 공유했다. 또한 실제 안전감찰 사례를 중심으로 효과적 개선 방안을 협의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재난관리책임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력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핵심 요소”라며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20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