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모다들엉 수눌음 정신을 기대하며

 
올해 감귤생산량을 예상할 수 있는 2차 노지감귤 관측조사 결과가 발표되어 676천톤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당초 생산목표량보다 96천톤이 증가하여 농가 및 행정당국이 초비상 상태에 접어들었다.

다 잘 아시다시피 ‘07년도 생산량 678천톤 조수입 2,515억원으로 ’08년도 520천톤 생산에 조수입 4,155억원과 비교해보면 1,640억원의 격차가 발생되는 계량적 통계수치로도 알 수가 있다.

‘07년 생산량수준과 ’09년 예상수치를 비교해보면 거의 2천톤의 격차로 같은 수준의 생산량에 근접하고 있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감귤출하기의 유통상황을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지 않은가? 지금상태로는 ‘07년의 가격대와 유통처리의 악몽이 떠오른다.

이러한 예측 때문에 행정에서도 새로운 감산목표량을 제시하여 읍면동별 열매솎기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시의 감산목표는 71천톤(도전체의 74%)으로 만만치 않은 물량이 대기하고 있다. 우리 면에서도 당초 감산목표 1,566톤에서 6,200톤으로 변경되어 추진하고 있다. 거의 4배 수준이다.

1인이 하루 열매솎기 물량은 농가는 대략 160kg이고, 봉사인원 등의 열매솎기물량은 90kg로 산출하면 물론, ha당 착과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ha/50~60명 정도가 소요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물론 잠정수치 이지만,

우리면 열매솎기 목표량 6,200톤을 감산하려면 평균 1인이 하루 125kg기준으로 연인원 49,600명 투입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따라서 이 수치에 따른 소요인원을 투입하려면 우리면의 각급단체 등 자생단체에 대하여 협조를 구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농촌마을인 경우 인력동원이 어려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각 단체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다. 지난번 우리면에 피해를 준 7·28 돌풍 및 호우피해 복구시 각 단체별 노력봉사가 조속한 시일 내에 빠른 복구를 했듯이 단체의 힘은 엄청난 자연재해도 극복을 했다.

결론적으로 열매솎기에 대한 농가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단체들의 참여가 있어야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주고유의 모다들엉 수눌음 정신의 위력을 보여줄 때가 된 것이다. 각 자생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참을 기대해 본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농불실시(農不失時) -“농사짓는 일은 제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는 뜻의 옛 고사성어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에 와있다.

서귀포시 표선면 산업담당 유지호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