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멸종위기 보호종 흰이마기러기 관찰

지난해에 이어 제주에서 두 번째…월동지 남쪽으로 확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종인 흰이마기러기 지난해에 이어 제주에서 관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3일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철새도래지 부근에서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희귀 조류 흰이마기러기 한 마리가 관찰됐다.

흰이마기러기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92년 경상남도 주남저수지에서 처음 관찰된 이후 주남저수지와 한강하구 부근에서 관찰됐고 지난해 4월 서귀포시 성산읍 신양리 해안에서 발견된 바 있다.

 
흰이마기러기는 북부 툰드라 산림지역에서 번식하며, 주로 러시아 남부에 있는 카스피해와 동중국해 인근에서 월동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 날아오는 미조(길 잃은 새)로 분류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흰이마기러기는 큰기러기 무리와 함께 바람을 피해 월동을 하고 있었으며, 주변의 물닭과 알락오리, 홍머리오리, 넓적부리오리 등 다른 오리류와도 같이 어울리며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흰이마기러기는 몸길이 53∼66cm로 소형 기러기로, 쇠기러기와 비슷하나 훨씬 작다.

암수의 이마와 정수리·뒷머리 부위는 어두운 갈색, 이마에서 정수리에 이르는 부위는 흰색, 부리는 선명한 분홍색이거나 장미색, 눈의 둘레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농경지·못·습지·호수·간척지·만 등지에 살며, 때로는 산간 하천의 하류 산기슭이나 산간 호수, 고산 벼랑을 비롯해 고지대 늪이나 물가의 돌밭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한배의 산란수는 3∼8개이며, 약 25일간 수컷이 알을 품는다.

새끼의 성장 기간은 5주 정도이며, 풀잎·북극버들(Salix herbacea) 등 다양한 식물성 먹이를 먹는다.

지난해에 이러 두 번째로 제주에서 흰이마기러기가 관찰된 것에 대해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김완병 학예연구사는 "단정지을수 없지만 온난화에 따른 동남아 등지에서 월동하는 새들이 북상하는 것과 비슷하게 북부에서 월동하는 새들이 남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월동지가 확산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