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제1회 헌마공신 김만일상 수상자,제주마주 겸 생산자인 ‘고경수’씨

1회 호국영웅 헌마공신 김만일상 수상자로 고경수(87. 제주시 조천읍)’씨가 결정됐다.

 

()헌마공신김만일기념사업회는 한 달간 후보자 추천 접수를 받아 서류심사와 현장실사를 거친 후, 최종 수상자로 평생 말을 키우며, 제주 말산업 발전 및 전통 마문화 보존에 힘쓴 공적을 인정해 고경수씨를 영광의 수상자로 선정했다.

 

 

고경수씨는 고향인 조천읍 선흘리에서 목축업을 운영하는 집안에서 출생했으며, 625전쟁 참전 후 선흘리 이장과 공동농업목장조합장 등을 거치며 초지개량과 마필육성에 힘써왔다.

 

80세가 넘는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천연기념물인 제주마를 비롯해 한라마 등 100여 두를 직접 키우며 우수마필 생산에 노력하고 있다. 평생 동안 경험과 지식으로 쌓은 말에 대한 우수한 안목은 제주경마 마주로도 빛을 발해 2차례의 최우수 제주마 생산 표창과 4차례의 대상경주 우승을 일궈내기도 했다.

 

또한 고경수씨는 제주 전통 방식의 말 목장을 운영하고 있다. 고씨가 둘째 아들과 함께 운영 중인 목장은 3대에 걸쳐 주위 방목지역의 담을 돌로 쌓아 올려 마치 조선시대의 목마장을 연상케 한다. 도한 광활한 목장은 수백년된 나무와 자연환경을 그대로 살린 초지로 조성되어 있으며, 연중 말을 방목할 수 있는 피우설가(避雨雪家, 비와 눈을 피할 수 있는 집) 형태의 개방형 마사도 보유하고 있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장덕지 전 제주대 교수는 고경수씨는 헌마공신 김만일의 정신과 뜻을 가장 훌륭하게 실천하고 있는 말산업 역군이라며, 말을 사랑하고 말과 함께 해 온 제주의 역사와 전통을 가장 잘 구현했기에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고경수씨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심사평을 밝혔다.

 

1회 호국영웅 헌마공신 김만일 공로상에는 한국인 제1호 수의사이자, 대한민국 축산과 수의학 발전에 혁혁한 공을 세웠던 고()이달빈씨가 선정됐다. 이씨는 오사카부립대학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수의사 면허를 획득한 우리나라 최초의 인물로, 창경원 동물원장, 국방경비대 전속 수의관, 서울대 수의과대학 외래교수 등을 역임한 바 있다.

 

1회 호국영웅 헌마공신 김만일상은 조선시대 임란과 호란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자신이 키우던 마필 수천여 마리를 군마로 바쳐 헌마공신의 칭호를 받은 김만일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됐으며, 말산업 발전과 전통 마문화 계승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수상하고 있다. ()헌마공신김만일기념사업회가 주관하며 한국마사회 제주지역본부에서 후원한다.

 

이번 제1회 제1회 호국영웅 헌마공신 김만일상 시상식은 1021() 17시에 한국마사회 렛츠런파크 제주에서 개최되며, 수상자인 고경수씨에게는 1천만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광서리 부회장 침착한 판단과 행동으로 위급상황 시민 구조
서귀포시 안덕면에 거주하는 이경봉 씨는 지난 27일(월) 22시경 인근 식당이 장기간 문을 열지 않는 것을 보고 수상히 여겨 업주에게 직접 연락을 취했다. 통화 과정에서 평소와 달리 어눌한 말투와 의식 저하로 보이는 이상한 반응을 느낀 이 씨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닌 응급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해 곧바로 119에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서귀포소방서 안덕119센터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해 업주의 상태를 확인, 신속히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다. 조치가 지체됐다면 중대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으나, 이 씨의 침착한 판단과 빠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이경봉 씨는 서광서리 마을 부회장으로서, 평소에도 지역 내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을 자주 살피며 마을의 수호자로 통하며, 주민들은 “언제나 이웃의 일에 먼저 나서는 든든한 분”이라며 깊은 신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이번 사례는 일상 속 관심과 행동이 생명을 지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시민 안전 실천 사례로 평가된다. 안덕면 일대에서는 “이웃 간의 따뜻한 눈길 하나가 안전망의 시작”이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안덕면 관계자는 “이경봉 부회장의 침착하고 적극적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