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몰아닥친 강추위가 제주섬을 꽁꽁 얼어붙게 했다.
32년만의 폭설이 내린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항공기와 여객선 운항도 전면 중단되면서 제주 나들이객들을 불편하게 하고 있다.
한라산에는 1m 이상의 폭설이 쏟아져 ‘설국’을 연상케 했다.
24일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제주도 산간에는 대설경보, 이외 지역에는 대설주의보가 발효됐다.
오전 6시 기준 한라산 지점별 적설량은 윗세오름 119cm, 진달래밭 110cm, 어리목 83cm 등이며, 이외 지역의 경우 아라 26cm, 성산 14.5cm, 제주 10.7cm, 서귀포 7cm, 고산 3cm 등이다.
32년 만의 큰 눈으로 도민들이 허둥대고 있다
이러한 적설량은 1984년 1월 이후 처음이다.
기상청은 25일까지 제주 산간에 10~40㎝, 이외 지역에 2~7㎝의 눈이 더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기상청은 앞선 23일에 2009년 3월 13일 이후 처음 한파주위보를 내리기도 했다.
이와 함께 추자도와 제주도 산간, 제주도 북.서부에 강풍경보, 제주도 남.동부에 강풍주의보, 제주도 전 해상에는 풍랑경보가 뒤를 이었다.
제주국제공항에서는 현재 폭설과 난기류로 인해 23일 오후 5시 50분부터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되고 있다.
예정된 항공편은 오전 7시 제주에서 김포로 향하는 대한항공 KE1200편 등 모두 185편으로, 현재 모두 결항됐다.
공항에는 7만 여명의 발이 묶였다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오늘 공항 이용객 예정인원은 출발 3만8000명, 도착 3만5000명 등 모두 7만1000여명이고 결항으로 인해 제주를 떠나지 못한 승객까지 포함하면 체류객은 2만 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활주로 사정 등을 감안하면 항공기 결항사태는 월요일인 25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풍랑경보가 발효된 해상에서도 높은 파도가 일면서 여객선 운항이 중단됐다.
우선 오전 8시 기준 현재 한라산을 지나는 1100도로와 5.16도로, 남조로, 비자림로, 서성로, 제1산록도로, 제2산록도로, 명림로 전구간의 경우 차량운행이 모두 통제됐다.
번영로와 평화로, 한창로, 첨단로에서는 소형차량은 전면 통제되고 있고, 대형 차량의 경우 스노우 체인 등의 장비를 갖춘 차량만 운행하고 있다.
애조로와 일주도로, 시내도로에서는 대.소형 차량 모두 스노우체인 등을 갖춰야 한다.
23일 오전 주말을 맞아 한라산 찾았던 관광객들의 경우 성판악 일대 도로에 많은 눈이 쌓이면서 고립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제주시 공무원들이 도두 지역 도로 제설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 재난대책본부는 관광버스 1대와 소방본부 버스 2대, 제주도청 버스 1대 등 4대를 현장에 긴급 투입해 등반객들을 모두 수송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도 어제 재일본 제주도민협회 신년인사회 참석차 출국하기 위해 항공기에 탑승했다 일정을 전면 취소하고, 현재 폭설대비 상황을 지휘하고 있다고 제주도는 밝혔다.
기상청은 서해상에서 발달한 눈구름대가 이동해오면서 제주도 전 지역에는 25일까지 많은 눈이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재난관리대책본부는 점차 대설 특보지역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 홍보 및 월동 장비를 갖추고 운행할 수 있도록 당부하고 있으며, 비닐하우스 및 축사시설에 대해서도 눈 쓸어내리기 및 농작물 관리 등으로 폭설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대비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