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해의 달력도 어느새 두 장째 넘길 시점에 와있는 요즘 행정당국이나 농촌의 화두는 감귤원 간벌이다. 2009년산 노지감귤은 해거리 현상으로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70만톤 가량 생산될 것으로 관련기관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렇게 예견되는 상황에서 가만히 앉아서 하늘을 원망하거나, 어떻게 되겠지 하고 치부해 버리는 바보는 없을 것이다. 행정당국에서는 대풍작으로 인한 가격 폭락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하고자 1/2간벌, 감귤안정생산직불제사업 등 감산시책 추진으로 적정가격 실현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와 어려운 지역경제를 살리고자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행정의 최일선에서 감귤 감산시책을 추진하면서 느낀점을 몇가지 적고자 한다. 첫째, 감귤농가들이 위기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지난 2007년에도 풍작으로 인한 가격 폭락이라는 경험을 한 바 있다. 위기의식 불감증은 홍보 부족이라거나 시책사업을 몰라서가 아니다. 해거리현상 = 풍작 = 가격 폭락이라는 예측 가능한 상황임에도 당장 눈 앞의 일이 아니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실천에 옮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아직도 무임승차 할려는 습성이 남아 있다. 감귤농가 대부분이 감산의 필요성은 인
작금의 시기는 미국발 자동차회사 “빅3” 여파로 미국은 물론 세계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 여건속에서도 감귤가격 호조는 농가들에게 다소나마 위안이 되고 있다고 하겠다. 감귤이 적정가격 유지는 어찌보면 암울한 현재의 경제실정과는 달리 그동안 고품질감귤 생산을 위한 관련 종사자들이 부단한 노력과 더불어 해거리 현상으로 인한 반사효과의 합작품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2007년산 노지감귤의 과잉생산으로 인한 가격하락이 농가소득 감소로 이어졌던 뼈저린 교훈을 얻은바 있다. 이처럼 해거리로 인한 과잉생산은 【감귤 공급량 과다 ⇒ 소비자 구매력 감소 ⇒ 감귤 가격하락 ⇒ 농가소득 감소 ⇒ 경영비 지출비중 증가 ⇒ 가계의 소비 위축 ⇒ 지역경제 불황】이라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고리를 끊지 않고서는 제주감귤의 경쟁력은 타 과일에 비해 뒤쳐질 수 밖에 없다고 본다. 이처럼 격년 주기로 반복되는 해거리 현상으로 인한 감귤가격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감귤 재배농가, 생산자단체, 행정이 합심하여 위기를 기회로 삼아 슬기롭게 대처해 나가는 역량을 모아 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은 최대 540천톤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