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비만인 올해 감귤 생산량
올해 감귤 생산량은 70여만 톤 이상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전년도의 적은 생산량에 비추어 해거리 현상으로 올해는 열매가 과다하게 달릴 예측을 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정확한 생산량은 ‘감귤관측조사’를 통해 나오겠지만 예년에 비해 많이 달릴 것이라는 생각에는 누구나 예외가 없다. 연말 감귤 가격이 걱정이다. 모두가 60만 톤 이내로 양을 줄여야만 제값을 받을 수 있고, 감귤산업이 살 수 있다고 한다. 행정에서는 폐원, 1/2간벌, 봄 전정, 열매솎기 등으로 8만5천여 톤을 감산할 예정이며, 여기에 시범사업인 안정생산 직불제와 시장격리 등을 합쳐 총 12만 톤을 감산해 내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석이조의 효과로, 감산과 더불어 감귤의 품질까지 좋게 하는 1/2간벌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양이 줄어들 뿐더러 햇볕이 잘 들어 당도가 높아지고 품질이 월등히 좋아지는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감귤을 소득원으로 하는 농가의 의지이다. 병원에서 내장지방으로 가득 찬 뱃살을 빼지 않으면 얼마 못가 위급한 병에 걸리고 곧이어 죽을 수도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치자. 대게는 살을 빼려고, 더 살아보려고 갖은 노력을 다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