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상의 전환을 통한 감귤산업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지난해와 달리 큰 수해(水害) 없이 9월이 지나감에 절로 안도의 한숨을 쉬어본다.코스모스가 피어남을 신호로 밭담 위로 보이는 감귤의 알갱이가 탐스럽게 굵어져가고 있다. 풍년을 기대하는 농부의 마음은 항상 같건만, 불안한 대내외의 경제사정과 지구 온난화로 인한 남해안 일대의 감귤농사 확대는 제주 감귤 농가들의 주름살을 깊게 하고 있다. 그간 살을 자르고 뼈를 깎아내는 심정으로 간벌을 진행하였던 제주특별자치도와 농민들의 마음속을 어찌 한 줄 글로 위로 할 수 있을까 만은 일상에서 겪었던 작은 에피소드로 그들을 위로 하여볼까 한다. 육지부에 있는 지인의 딸이 임신을 하였는데, 입덧이 심해 음식을 입에 대지 못한다는 것이다. 임신을 하니 신맛에 대한 욕구가 생기고 자연스럽게 석류 등의 신맛의 과일을 찾게 되었다고 한다. 대화를 나누다 보니 문득 떠오르는 우리지역의 과일이 있었다. 그건 바로 하귤(夏橘)이었다. 우리네 시골집 마당 어디에나 한두 그루 정도는 심어져 있다. 하지만 신맛이 강해 과일을 따더라도 돈을 주고 사고파는 상품으로 여기지 않아 농가의 창고에 보관되었다가 여름이 되어서야 설탕을 뿌려 잠깐 맛보는 그런 귤들 뿐이다. 지인에게 나는 하귤에 대한 간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