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산림병해충
지구온난화 등 기상이변에 따라 그간의 패턴과는 다른 여러 가지 생태계의 이상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산림병해충이 빈발하고, 기존 주요산림병해충도 감소와 갑작스런 증가를 반복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참나무시들음병이 급속히 번지고 있고 소나무재선충병, 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벚나무빗자루병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잣나무잎벌, 오리나무좀 등 신종 병해충도 빈발하고 있다. 아름다운 나무나 숲이 갑작스런 산림병해충으로 피해를 보는 것은 숲을 가꾸는 담당자로서 매우 곤혹스러운 일이다. 대부분 산림해충은 적정개체가 있을 때는 쇠약한 나무를 도태시켜 숲의 나무밀도를 조절하고 스스로는 새나 곤충 등의 먹이로서 생태계의 매우 중요한 일원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기상이변, 천적감소 등 생태계의 여건이 달라져 균형이 깨졌을 때는 개체가 급격히 증가하여 먹이식물인 산림에 집단적 피해를 주게 되고 우리는 해충으로 취급하여 방제사업을 실시하게 된다. 산림병해충의 빈발 등 여러 가지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요인 중 기후변화는 가장 예민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도 에서도 기후온난화로 3-4년의 주기적 발생형태를 보이던 송충이 지역에 따라 매년 발생하고 겨울철에는 낙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