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칼럼>감귤산업 버리기는 경제적 4.3이다

다시 4.3이 왔다.

이번 4.3은 그 어느 때 보다 혹독한 바람과 함께 왔다.

2일 체결된 한. 미 FTA가 그것이다.

그토록 바라던 감귤에 대한 최소한의 방어장치라고 여긴 ‘민감품목 포함’은 물 건너간 채 ‘계절관세’라는 허울 좋은 간판만 내 걸렸다.

‘4.3’이라는 ‘결코 잊을 수 없고 아직도 상처가 남아 있는’ 날을 맞은 도민은 오늘 두 번 울어야만 한다.

그 시절 4.3도 들여다보면 ‘대부분 도민들은 영문도 모르고 당했’지만 주도하거나 이를 저지하고 깨뜨린 세력들은 이데올로기 다툼의 복사판을 연출했다.

‘남한만의 단독정부 반대’의 목소리와 동북아를 향한 ‘미국의 팍스아메리카’가 우연히도 제주도라는 좁은 공간에서 부딪쳤다는 분석을 토대로 언제나 ‘그들만의 제 입맛대로’라는 지적에 진절머리가 난다.

애꿎은 도민들의 피를 담보로 그들은 싸웠고 결국 ‘공산주의 타파’를 기치로 내 세운 세력이 승리를 거뒀다.

그들이 남긴 것은 ‘4.3 평화공원에서 흘리는 눈물’뿐이다.

한.미 FTA는 경제적 4.3이다.

식량주권을 지키면서 ‘좀 더뎌도 알뜰살뜰 살면 된다’는 주장과 ‘중진국 수준에서 맴도는 국가경제를 선진국에 맞추려면 할 수없는 노릇’이라는 논리가 회오리를 일으키고 있다.

문제는 ‘왜 제주 감귤산업만 그토록 홀대받느냐 하는데’있다.

사과, 배 등은 ‘해당지역 단체장’들이 협상장을 기웃거리지 않아도, 농협 조합장들이 삭발을 하지 않아도 ‘감귤보다 훨씬 좋은 조건’으로 한.미 FTA를 맞았다.

이 지역은 거의 쌀농사를 병행하는 곳으로 ‘쌀’이 협상대상에서 제외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럭저럭 견딜 만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제주도는 경우가 다르다.

감귤이 무너지면 도 전체 경제가 흔들리게 된다.

다시 제주도민들은 조선말의 출륙금지, 해방직후의 4.3에 이어 엄청난 위기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도민들에게 ‘국가 경제 전체 차원에서는 이익’이라는 설득이 먹혀들기를 바라는 정부당국이 야속하기만 하다.

선량한 도민들을 학살할 당시에도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해야 한다’는 명분을 들이댔다는 면에서 그제나 이제나 도민들은 ‘마른하늘에 날벼락’을 맞는 셈이다.

혹자는 말한다.

‘도세가 약하다보니 항상 당하기만 한다’고.

다시 두 주먹을 불끈 쥐어야 할 판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