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서승모의 한방탐구

발 뒷꿈치 통증 (족저근막염)에 대해

발 뒷꿈치가 아무 이유 없이 아프다고 호소 하시는 분을 의외로 많이 볼 수 있는데 제일 많은 원인이 족저근막염을 들 수 있다.


발의 앞꿈치와 뒷꿈치 사이에는 인대와 같은 고무밴드 같은 것이 있는데 이 것을 족저근막이라 한다. 고무줄이 오래되면 탄력이 없어지고 뻣뻣해지듯이 나이가 들면 족저근막은 고무밴드라기 보다는 잘 늘어나지 않는 밧줄 같아진다. 발 뒷꿈치 지방층은 얇아져서 보행에 의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 할 수 없게 되고 초과된 충격은 족저근막에 손상을 주게 된다.


족저근막은 손상으로 붓고 찢어지거나 멍이 들고 발 뒷꿈치에 통증이 생기게 된다.


족저근막염에 의한 통증은 아침 처음 일어나서 발을 디딜 때 발뒷꿈치에 통증을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통증 양상은 칼이나 핀이 발바닥을 찌르는 듯하고 어느 정도 서 있은 후에는 둔한 통증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다시 앉아 있다가 걷기 위해서 일어서면 다시 예리한 통증은 다시 발생하게 된다,


족저근막염은 평발인 경우에 족저근막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늘어나 있어서 족저근막 손상이 정상인보다 발생확률이 많고 많이 뛰거나 걷는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 발 뒷꿈치 지방층에 자극이 많아서 족저근막 손상 확률이 높다.


족저근막염에 걸리면 많이 뛰거나 걷는 사람이라면 줄여야 하고 체중감소도 통증 감소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 신발을 신을때도 너무 높거나 낮은 굽은 피하고 밑창은 충격흡수가 잘되는 부드러운 소재로 된 것을 고르는게 좋다. 딱딱한 바닥에 오래 서 있거나 한 지점에 오래 서 있는 일과 관계된다면 서 있는 바닥에 푹신한 패드를 까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도움이 되는 운동은 종아리 근육 스트레칭이 가장 좋은데 종아리 근육은 아킬레스건을 통해 족저근막과 연결이 되어서 종아리 근육이 부드럽게 이완이 잘 되면 족저근막이 편안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발가락으로 수건을 집어 올리는 운동 또한 족저근막의 긴장감을 풀어주어 도움이 많이 된다.


한의학적 치료법은 발뒷꿈치 통증은 내부적으로는 신허(腎虛)로 인한 통증으로 보고 신을 보하고 족소음신경과 족태양 방광경의 소통을 좋게 하여 종아리와 발뒷꿈치 부분의 긴장을 풀어주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족저근막의 부착 부위에 뼈가 웃자라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상황에 따라 수술적인 치료법이 생길 수도 있다.

 

서승모 한의사는 원광대학교 한의과 대학 졸업을 하고 현재 '전농로 한의원' 원장으로 계십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광서리 부회장 침착한 판단과 행동으로 위급상황 시민 구조
서귀포시 안덕면에 거주하는 이경봉 씨는 지난 27일(월) 22시경 인근 식당이 장기간 문을 열지 않는 것을 보고 수상히 여겨 업주에게 직접 연락을 취했다. 통화 과정에서 평소와 달리 어눌한 말투와 의식 저하로 보이는 이상한 반응을 느낀 이 씨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닌 응급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해 곧바로 119에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서귀포소방서 안덕119센터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해 업주의 상태를 확인, 신속히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다. 조치가 지체됐다면 중대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으나, 이 씨의 침착한 판단과 빠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이경봉 씨는 서광서리 마을 부회장으로서, 평소에도 지역 내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을 자주 살피며 마을의 수호자로 통하며, 주민들은 “언제나 이웃의 일에 먼저 나서는 든든한 분”이라며 깊은 신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이번 사례는 일상 속 관심과 행동이 생명을 지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시민 안전 실천 사례로 평가된다. 안덕면 일대에서는 “이웃 간의 따뜻한 눈길 하나가 안전망의 시작”이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안덕면 관계자는 “이경봉 부회장의 침착하고 적극적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