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살아숨쉬는 제주옹기'의 역사와 제작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

제주도예원, 세계유일의 돌가마에서 구워지는 제주특산옹기

 
옛 탐라 선인은 어떤 그릇에 밥을 담고 국을 담아서 먹고 살았을까? 제주에는 어떤 옹기가 있었고 그 옹기의 가치는 어떠할까? 제주의 가마는 육지의 가마와 얼마나 다를까?

제주에는 옹기를 만드는 곳이 몇군데 있다. 그러나 옛 탐라 선인들이 즐겨쓰던 그릇을 전통 그대로의 형식으로 만드는 곳은 드물다.

대정읍 무릉리에 조성된 제주도예원.

 
제주에는 옛부터 흙보다는 돌이 많은 화산섬이다. 그래도 삶과 밀접한 돌을 이용한 많은 생활용품이라든지, 돌담, 예술품, 심지어는 죽어서도 돌담으로 울타리를 짓고 살 많큼 제주에는 돌이 많다.

그런 제주에 옹기를 구워내는 가마는 육지의 흙가마와는 달리 돌가마가 주를 이뤘다고 한다.

이 돌가마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돌로 축조된 제주전통가마인 석요(石窯)로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단 한줄도 기록도 없이 맥이 끊겨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제주전통도예의 맥을 잇기 위해 강창언 도예원장은 20여년간의 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현존하는 도공을 모시고 복원해 제주도예원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00년 복원에 성공한 노랑굴이 공개되고 제주도무형문화재 제14호인 허벅장과 전수생들은 제주의 전통도예의 맥을 잇고 있는 곳이 제주도예원이다.

 
제주도예원에서 생산되는 옹기들은 옛 그대로의 옹기를 재현하고 있어 인공적인 유약을 칠하지 않고 불의 힘으로만 흙속의 성질을 이용해 자연유약이 발색해 만들어지는 천연도기로 '숨쉬는 옹기', '인간을 생각하는 옹기', '천상의 옹기'로 불리운다. 또한 제주의 흙으로만 만들어진 말 그대로 '천연 제주산 웰빙 그릇'인 것이다.

천여평의 부지에 조성된 제주도예원 내에는 제주의 전통 옹기로 가득차 있다. 항아리와 물허벅, 사발,뚜껑, 요강단지 등 그 종류만해도 수백가지가 넘는다.

또한 옹기들도 멀쩡한 옹기가 있는 반면 불의 힘으로, 무게에 못이겨 휘어지고, 물러지는 등 기이한 형태의 옹기들을 그냥 깨서 없애지 않고 하나의 작품으로 놓여져 있다.

 
제주도예원은 제주 옹기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 있는 공간이다. 예 탐라선인들이 사용했던 옹기로 부터 시작해 지금 현재 만들어지는 미술품으로서의 옹기까지 그 종류와 색깔, 형태도 다양하다.

제주도예원 마당에는 수많은 완성과 실패의 도기들이 놓여있는 반면 심혈을 기울여 하나의 완벽한 도기로 탄생한 작품들이 전시된 전시장이 도예원을 찾는 이들을 반긴다.

제주전통 옹기를 만드는 무형문화제 전수장은 제주도무형문화제 제14호인 '신창현'옹과 전수자들이 모여 옹기를 만드는 공간으로 맨발로 물레를 돌리고 다양한 옛 도구들과 손으로 옹기를 만드는 과정을 엿볼수 있다.

제주만이 유일한 돌로만들어진 석요(石窯)인 노랑굴과 감은굴 등은 전수장 옆에 위치해 있고 그내부에는 도기를 구워낼 당시의 화력을 보여주는 듯한 종유석 형태의 돌이 녹아내린 흔적들이 보인다.

제주도예원은 제주의 전통도기의 맥을 잇기 위해 전수자들에게만 옹기의 제작과정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제주의 전통도기의 우수성과 제작과정들을 전달하는 체험의 장과 워크숍 등도 마련하고 있다.

 
자녀들과 함께 제주의 전통도기의 우수성과 제작과정을 알고 싶다면, 제주 도기의 역사와 예술성을 알고 싶다면 제주도예원으로 발길을 돌려보는 것은 어떠할까?

직접 흙을 채취해서 밟고 주무르고 쌓아가면서 흙의 부드러움을 체험하게 되고, 이 과정을 거쳐 불과의 조화를 통해 더욱 강해지는 과정을 지켜보노라면 제주옹기의 강인한 생명력과 예술적 체취를 느껴볼 수 있다.

제주 도예원[석요]은

☞전화 ▶ (064)792-0052
☞찾아가는 길 ▶ 대정농공단지 입구 ~ 도예원 1.5km (대정문화체육관옆)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8월 한 달 우도 교통안전 특별 지도·단속
제주특별자치도는 우도면 차량 운행제한 일부 완화로 인한 교통량 증가에 대비해 1일부터 한 달 간 교통안전협의체(거버넌스) 중심의 특별 지도·단속에 나선다. 이번 합동 지도·단속은 우도 내 차량 운행제한 일부 완화에 따른 교통량 증가와 혼란을 차단하기 위해 도와 행정시, 유관기관, 우도면 자생단체가 함께 교통안전과 관광질서 전반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교통정책과, 자치경찰단, 제주시(교통행정과, 해양수산과), 동부경찰서(교통과, 우도파출소), 한국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우도면 이장협의회 등 주요 점검사항은 △차량 운행제한 이행 여부 △도로 및 공유수면 무단점용 △자가용 등 불법 유상운송, 무등록 여행업 △렌터카, 이륜차 등 교통법규 위반 △전기 3륜차 안전수칙 준수 등이다. 우도면 해안도로 등 교통사고 취약지점 점검과 유해요소 파악, 교통안전 의식 개선을 위한 홍보 활동도 함께 진행된다. 1일 첫 합동점검 이후에도 제주도(교통정책과, 자치경찰단), 동부경찰서 등을 중심으로 8월 한 달 동안 지속적인 현장 지도·단속이 이뤄진다. 우도면 교통상황 등 활동사항을 수시로 공유해 현장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현장 의견을 반영하는 등 실효성 있는 지도·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