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살아숨쉬는 제주옹기'의 역사와 제작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

제주도예원, 세계유일의 돌가마에서 구워지는 제주특산옹기

 
옛 탐라 선인은 어떤 그릇에 밥을 담고 국을 담아서 먹고 살았을까? 제주에는 어떤 옹기가 있었고 그 옹기의 가치는 어떠할까? 제주의 가마는 육지의 가마와 얼마나 다를까?

제주에는 옹기를 만드는 곳이 몇군데 있다. 그러나 옛 탐라 선인들이 즐겨쓰던 그릇을 전통 그대로의 형식으로 만드는 곳은 드물다.

대정읍 무릉리에 조성된 제주도예원.

 
제주에는 옛부터 흙보다는 돌이 많은 화산섬이다. 그래도 삶과 밀접한 돌을 이용한 많은 생활용품이라든지, 돌담, 예술품, 심지어는 죽어서도 돌담으로 울타리를 짓고 살 많큼 제주에는 돌이 많다.

그런 제주에 옹기를 구워내는 가마는 육지의 흙가마와는 달리 돌가마가 주를 이뤘다고 한다.

이 돌가마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돌로 축조된 제주전통가마인 석요(石窯)로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단 한줄도 기록도 없이 맥이 끊겨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제주전통도예의 맥을 잇기 위해 강창언 도예원장은 20여년간의 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현존하는 도공을 모시고 복원해 제주도예원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00년 복원에 성공한 노랑굴이 공개되고 제주도무형문화재 제14호인 허벅장과 전수생들은 제주의 전통도예의 맥을 잇고 있는 곳이 제주도예원이다.

 
제주도예원에서 생산되는 옹기들은 옛 그대로의 옹기를 재현하고 있어 인공적인 유약을 칠하지 않고 불의 힘으로만 흙속의 성질을 이용해 자연유약이 발색해 만들어지는 천연도기로 '숨쉬는 옹기', '인간을 생각하는 옹기', '천상의 옹기'로 불리운다. 또한 제주의 흙으로만 만들어진 말 그대로 '천연 제주산 웰빙 그릇'인 것이다.

천여평의 부지에 조성된 제주도예원 내에는 제주의 전통 옹기로 가득차 있다. 항아리와 물허벅, 사발,뚜껑, 요강단지 등 그 종류만해도 수백가지가 넘는다.

또한 옹기들도 멀쩡한 옹기가 있는 반면 불의 힘으로, 무게에 못이겨 휘어지고, 물러지는 등 기이한 형태의 옹기들을 그냥 깨서 없애지 않고 하나의 작품으로 놓여져 있다.

 
제주도예원은 제주 옹기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 있는 공간이다. 예 탐라선인들이 사용했던 옹기로 부터 시작해 지금 현재 만들어지는 미술품으로서의 옹기까지 그 종류와 색깔, 형태도 다양하다.

제주도예원 마당에는 수많은 완성과 실패의 도기들이 놓여있는 반면 심혈을 기울여 하나의 완벽한 도기로 탄생한 작품들이 전시된 전시장이 도예원을 찾는 이들을 반긴다.

제주전통 옹기를 만드는 무형문화제 전수장은 제주도무형문화제 제14호인 '신창현'옹과 전수자들이 모여 옹기를 만드는 공간으로 맨발로 물레를 돌리고 다양한 옛 도구들과 손으로 옹기를 만드는 과정을 엿볼수 있다.

제주만이 유일한 돌로만들어진 석요(石窯)인 노랑굴과 감은굴 등은 전수장 옆에 위치해 있고 그내부에는 도기를 구워낼 당시의 화력을 보여주는 듯한 종유석 형태의 돌이 녹아내린 흔적들이 보인다.

제주도예원은 제주의 전통도기의 맥을 잇기 위해 전수자들에게만 옹기의 제작과정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제주의 전통도기의 우수성과 제작과정들을 전달하는 체험의 장과 워크숍 등도 마련하고 있다.

 
자녀들과 함께 제주의 전통도기의 우수성과 제작과정을 알고 싶다면, 제주 도기의 역사와 예술성을 알고 싶다면 제주도예원으로 발길을 돌려보는 것은 어떠할까?

직접 흙을 채취해서 밟고 주무르고 쌓아가면서 흙의 부드러움을 체험하게 되고, 이 과정을 거쳐 불과의 조화를 통해 더욱 강해지는 과정을 지켜보노라면 제주옹기의 강인한 생명력과 예술적 체취를 느껴볼 수 있다.

제주 도예원[석요]은

☞전화 ▶ (064)792-0052
☞찾아가는 길 ▶ 대정농공단지 입구 ~ 도예원 1.5km (대정문화체육관옆)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