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9.6℃
  • 흐림강릉 11.7℃
  • 흐림서울 12.9℃
  • 구름많음대전 9.6℃
  • 박무대구 7.9℃
  • 구름많음울산 14.0℃
  • 구름많음광주 12.1℃
  • 맑음부산 15.8℃
  • 구름많음고창 10.6℃
  • 구름많음제주 17.7℃
  • 흐림강화 10.9℃
  • 흐림보은 6.5℃
  • 흐림금산 6.6℃
  • 구름많음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6.1℃
  • 흐림거제 16.8℃
기상청 제공

JDC 입주기업 이온어스(주), 서남아시아 진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사장 문대림, JDC)는 제주혁신성장센터 ‘Route330 AEV’(KAIST 위탁 운영) 입주 기업인 이온어스()(대표 허은)가 지난 726일 파키스탄의 중견 에너지 기업인 지솔라(Zi Solar)와 화상으로 파키스탄 내 전기차 충전 사업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온어스는 전기차 배터리로 만든 이동형 ESS 인디고(Energy Storage System Indego)’개발했다.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자유롭게 이동시켜 디젤발전기를 대신해 청정 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온어스는 지난 해부터 파키스탄의 전동화 정책 추진에 발맞춰 전동화 차량(이륜, 삼륜을 포함한 승용 및 버스)의 충전 인프라 구축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해 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지솔라의 자국 내 태양광 에너지사업의 풍부한 경험과 이온어스의 이동형 ESS 인디고 및 관련 기술이 결합하게 됐다. 또한 전기차 충전 사업에 필요한 설비와 운영 플랫폼을 파키스탄 시장에 공급하고 추후 현지 생산으로 확대할 것을 확정했다.

 

파키스탄 정부는 유류 가격 인상으로 인한 대중교통 비용 증가와 노후 엔진 사용으로 인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11 전기자동차 관련 법안을 통과시켰다.


파키스탄 정부는 향후 5년동안 전기 이륜차 및 삼륜차를 연간 10대씩 총 50만 대, 전기자동차는 연간 2만 대씩 10만 대를 보급할 계획으로 차량 운영을 위한 전력망과 충전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솔라의 재생에너지 사업과 이온어스의 ESS를 기반으로 구축되는 재생에너지 충전 플랫폼으로 전력망 확충 없이도 지속 가능한 충전 인프라가 파키스탄 내에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온어스의 허은 대표는 “Route330 AEV 입주해 JDCKAIST의 투자 유치 지원 및 연구 개발 자문으로 사업 확장 및 제품 고도화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앞으로도 JDCKAIST의 지원사업과 기술 자문을 기반으로 한 회사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JDC는 제주혁신성장센터 Route330 사업을 운영하며 ICT, 자율·전기차 분야의 유망한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고 있다. 20218월 현재 51 사가 입주해 173명이 근무하고 있다.

 

9에는 자율·전기자동차 연구 공간인 ‘EV-LAB’을 개소한다. 해당 분야의 입주기업과 유관 연구기관에 장비 대여와 KAIST의 연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내 자율·전기차 산업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