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4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제주의 색깔을 찾는 진로체험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이석문)제주의 색깔을 찾아가는 진로체험을 위해 제주지역 특화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9월부터 시작하여 1130일까지 도내 읍면 중학교 10개교 30학급 714명에게 실시하였다.

 

지역 특화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제주의 자연과 역사 자원을 활용하여 관광친환경제주어를 주제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군 소개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으로는 생생(生生) 원도심(원도심 지역 역사와 변화 체험 미션활동), 제주와 관광(제주생태관광 체험과 관계자 인터뷰), 제주4.3과 다크투어리즘(4.3마을 탐방과 다크투어기획자 인터뷰), 바다와 에너지(제주 해안 지형 이해과 신재생에너지 관계자 인터뷰), 지속 가능한 제주(제주 쓰레기 문제와 재순환 구조 이해 체험 및 관계자 인터뷰), 관광과 경제(주민주도 마을기업 이해와 관계자 인터뷰), 알아지쿠다제주어(제주어 이해와 제주어 보존 관계자 인터뷰), 7개가 진행되었고, 다크투어기획자 등 20여명의 직업인과 사회적협동조합 선흘곶 등 10개 기관이 함께 참여하였다.

 

대규모 일회성으로 그치는 진로체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전교육(학급 단위 안전교육 및 멘토 만남 준비 과정) 진로체험(각 주제 관련 탐방 및 체험, 멘토 인터뷰) 사후활동(활동 경험 나눔 및 워크북 작성)’으로 모듈화하여, 현장과 밀착되고 학생들은 체계적인 진로탐색의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교사는진로체험 선택 기회 부여와 구성이 사전교육 본활동 - 사후활동으로 구성된 점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많았고, 단순 체험이 아닌 직업인과 만남을 통해 진솔한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이 가치 있다고 평하였다.

 

참여한 학생들은직업인과 대화를 하면서 그 직업과 사람에 대해 존경스럽게 생각하게 되었고, 모르던 직업인을 만날 수 있어서 새로웠다, 방송이나 인터넷에서 봤던 것들을 실제 체험하고 그 일을 하는 사람을 직접 만나게 되니 궁금증도 풀렸고 더 많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도교육청 관계자는제주의 자연, 마을, 사람, 문화를 주제로 더 많은 지역특화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주의 가치를 이해하는 진로체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시, 추석 명절 대비 선물세트류 과대포장 집중점검
서귀포시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오는 9월 25일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과대포장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한국환경공단과 합동점검으로 진행되며, 가공식품·제과류·완구류 등 포장규칙 적용대상 제품 중 선물세트류를 대상으로 위반 여부를 점검하는 사항으로 선물용품의 과다한 포장을 방지하여 자원낭비를 최소화(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사항이다.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포장 기준을 준수하여야 하며, 위반 시 해당 제품을 제조·수입한 자에게 최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점검 시, 간이 측정을 통해 과대포장이 의심되는 제품들은 제조·수입 업체에 포장검사 명령을 시행하고, 검사기관 검사 결과에 따라 위반 업체는 해당 관할 지자체에 과태료 처분을 요청할 계획이다. 지난 설 명절 과대포장 점검으로 의심 제품 4건을 적발하였으며, 포장공간 비율 초과 2건, 검사명령 미이행 1건, 분리배출 미표시 1건의 위반사항에 대하여 해당 업체 관할 지자체로 처분을 요청하였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명절마다 반복되는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조·수입업체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며, 친환경 포장을 통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