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노지문화 콘텐츠화’ 서귀포 마을 공개모집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에서는 마을이 보유하고 있는노지문화(露地文化)’를 콘텐츠화하기 위하여 20201021()부터 114()까지 참가마을을 모집한다.


사업은 서귀포시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마을의 주민과 문화기획자가 함께 협력하여 마을의 유무형자원을 발굴기록콘텐츠화를 통해 우리마을에서 소중하게 가꿔왔던 문화적 가치를 찾아내고자 마련되었다.



노지문화아름다운 자연 속 소박했던 공동체 문화를 소중하게 가꿔 왔던 서귀포시 105마을마다의 고유한 유·무형의 모든 문화자원을 뜻한다. 자연, 인물, 물건, 의식주, 축 등 눈에 보이는 것으로부터 수눌음, 공간, 소리, 역사, , 느낌, 물속의 숨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것 까지 우리의 자연 속 더불어 살아왔던 모든 일상의 자원을 의미한다. , 바람, , 퐁낭, 의식주, 목축, 신화, 역사, 해녀, 민요, , 제주어, 동식물, 돌창, 곶자왈, 감귤 등 모든 것을 소재로 신청할 수 있다.

 

모집대상은 서귀포시 소재 105개 마을 및 읍면동 단위 마을회이고, 신청방법은 서귀포시청 홈페이지 및 문화도시서귀포 블로그를 통해 참가신청서 및 콘텐츠화 계획서, 마을소개서 등 양식을 작성하여 이메일(red7829@gmail.com) 및 방문접수(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 하면 된다.

 

전문가 심사과정을 통해 선정된 마을에는 최대 2000만원 규모 이내 콘텐츠화 제작을 지원하게 된다.

 

서귀포시 105개 마을마다의 고유한 마을문화인노지문화를 마을주민 스스로 발굴 및 콘텐츠화 하는 마을단위 공모사업이다. 2019도에는 대정읍 구억리는 마을주민들이옹기를 테마로 집집마다 사진과 구술기록 1단계 사업과 옹기마을 조성을 진행했으며, 송산 서귀마을회에서는 일제강점기 1870~1950년 서귀동 솔동산마을근대 역사문화 아카이브자료집 제작을 통해 점차 사라져가는 마을 고유의 문화자원을 발굴하며 기록했다. 이를 통해 추후 마을관광콘텐츠 개발과 마을공동체문화를 활성화시키는 발판을 마련했다.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마을로 찾아가는 것이 제한적이어서 아쉬웠지만 노지문화콘텐츠화 사업을 비롯한 마을문화계획수립, 미래문화자산발굴단, 마을문화공간네트워킹 등 마을참여 사업들을 통해 105개 마을과 함께 만들어가는 서귀포시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계속해서 이어나갈 방침이다.

자세한 사항은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064-767-9505)로 문의하면 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삼다수공장서 2025 을지연습 긴급구조 종합훈련
제주특별자치도는 20일 오후 4시 10분 제주시 조천읍에 위치한 제주삼다수공장에서 ‘2025년 을지연습 병행 긴급구조 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폭발물 및 드론 테러, 화재, 붕괴 등 복합재난상황에 대한 대비태세를 확립하고, 긴급구조 관계기관 간 협력을 통해 통합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 장소는 전시 상황 발생 시 도민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 물자인 먹는 물의 중요성을 고려해 도내 최대 생수 생산지인 제주도개발공사 삼다수공장으로 선정했다. 이곳은 비상시 먹는 물 공급을 담당하는 중점관리업체다. 훈련에는 도내 통합방위기관과 의료기관 등 300여 명의 인력과 장비 50여 대가 동원돼 대규모 민·관·군·경·소방 합동으로 진행됐다. 주요 훈련 내용은 삼다수공장 내 총기 및 폭탄 무장 테러범 진압, 드론 테러에 의한 공장 폭발과 화재 발생 대응, 소방헬기를 활용한 화재 진압, 공장 붕괴로 인한 인명구조 활동 등이었다. 특히 최근 신설된 소방특수대응단이 을지연습 실제훈련에 처음 참여했으며, 소방헬기 ‘한라매’와 119구조견, 119회복지원차량 등이 현장에 투입돼 훈련의 실전성을 더욱 높였다. 또한 재난의료지원팀(DMAT)과 유관기관 종사자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