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관찰기]야비한 자연의 섭리 '탁란'

두견이 탁란 과정, 한 달 동안 양부모 독차지 한 두견이 새끼

 
수많은 새들 중 일부의 새는 알을 낳아 포란과 육추를 다른 새에게 떠맡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가 바로 '탁란'이라고 한다.

즉 조류가 다른 조류의 둥우리에 알을 맡기는 일이다.

일반적으로 탁란하는 새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두견이과의 뻐꾸기,두견이, 벙어리뻐꾸기, 매사촌 등이다.

탁란을 하는 경우에는 자기 알과 매우 비슷한 새의 둥우리를 선택하는데 예를 들면 두견이는 자기의 암적색 알을 닮은 휘파람새의 둥우리에 탁란 한다.

 
휘파람새와 두견이의 경우,

휘파람새는 대개 4개의 알을 하루 간격으로 낳는데 이때 산란중에나 포란(抱卵) 초기에 휘파람새가 둥지를 비운사이에 두견이는 얼른 알을 1개 물어 넣고 휘파람새의 알을 1개 물어내다 버린다.

휘파람새의 새끼는 포란 시작후 약 13-14일에 태어나는데 두견이의 새끼는 이보다 앞서서 약 10-11일에 태어난다.

두견이 새끼는 알에서 깨어나자마자 눈도 안보이고 깃털도 없는 상태에서 휘파람새의 둥지내에 있는 알이나 갓부화한 작은새끼를 등으로 밀어 둥지 밖으로 몰아낸다.

알이나 새끼들의 밑으로 파고 들어가 들어 올린 후 둥지 밖으로 떨어뜨려 버린다. 양부모에게 먹이를 독점하기 위한 행동이며 경쟁의 상태를 제거하기 위한 행동이다.

 
부화한지 하루나 이틀만에 둥지를 독점하게 되며 20일에서 22일정도 둥지를 차지하고 다른 종류의 어미새들로부터 먹이를 받아 먹으며 무럭무럭(?) 자라게 된다.

둥지를 이소(둥지를 떠남)하고도 염치없이 또 7일 이상을 먹이를 받아 먹다가 어미새를 내팽개치고 혼자 살아가게 된다.

그야말로 고도의 지능적 번식 능력을 갖고 있는 새이다.

이성이 없는 짐승의 행위이지만 한편 생각하면 분노가 치밀기도 하고, 탁란에 의지해 종족 번식의 본능으로만 살아가는 생태가 야비하게도 느껴지기도 한다.

 
지금도 어디선가 제새끼를 내몰아 죽이고 자기보다 큰몸집의 두견이새끼를 온힘을 다해 거두는 휘파람새의 운명이.....

자연의 섭리나 질서로만 헤아리기는 너무 가혹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생각은 인간의 생각일뿐 정작 그들은 평온하다.

사람의 잣대로 자연의 그들 세상에 탁란의 행위를 옳고 그름을 탓하여 무었하랴.

 
한참 무더위가 맹위를 떨치던 한달 가량 서귀포시 중산간 지역 숲에서 염치 없게 사생활을 지켜보면서 생각한다.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우리 인간의 삶에서도 두견이나 뻐꾸기와 같이 남에게 필요이상 의지하거나, 필요한것 만 요구하고 마는 이들이 있다"는 걸.

사회는 더불어 살아가는 곳이다.

모두가 살아가는 방법에 차이가 있겠지만 그래도 자연의 생태를 보면서 우리의 삶을 다시한번 돌아보는 것은 어떨까?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자치경찰단, 주민과 손잡고 아이들 통학길 안전 지킨다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은 새 학기를 맞아 주민봉사대와 함께 초등학교 주변 교통사고 예방 캠페인과 노후 시설물 안전 점검을 합동으로 추진한다. 올해 도내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4건(5월 기준) 발생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며, 자치경찰단은 어린이 사고를 한 건이라도 줄이기 위해 홍보 활동과 시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37개교에 약 5억 원을 투입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옐로카펫, 노란색 횡단보도, 신호등 설치·개선으로 시인성 강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주민자치경찰대와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합동 캠페인을 전개하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올바른 보행 지도, 불법 주정차 금지, 시속 30km 준수 등 어린이 우선 보호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캠페인은 지난 1일 송당초·애월초를 시작으로 10일 함덕초 선인분교, 16일 선흘초, 19일 대흘초에서 순차적으로 열리며, 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위한 교통지도 활동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학교 주변 신호등,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가로등, 펜스, 비상벨 등 노후 시설물 점검도 병행해 위험 요인이 발견되면 즉시 보수·개선을 요청하고, 안전신문고 앱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