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Jeju 울트라 트레일러닝 대회, 성황

서귀포의 대자연속 성공적 개최

서귀포시가 2019 문화체육관광부 공모에 선정된2019 Trans Jeju 울트라 레일러닝 대회10 12일부터 13까지 양일간 서귀포시 일원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가시리 마을회에서 주최하고 Trans Jeju 울트라트레일러닝대회 조직위원회에서 주관하는2019 Trans Jeju 울트라 트레일러닝 대회는 유네스코가 인정한 천혜의 자연 경관을 달리는 세계 대회이다.

 

대회는 세계 30개국 1,500(외국인 참가자 470)이 참가했으며, 세계 최고의 선수 프랑스의 Audrey Tanguy 아시아 최고의 선수 Kazufumi Ose 세계의 많은 엘리트 선수들이 함께 달렸다.



 

코스는 10km, 50km, 112km 3종목으로 나누어서 진행됐으며 10km새꽃이 아름다운 따라비 오름과 가시리 마을 목장 내에서 진행됐다


 50km/112km제주대학교를 출발점으로 한 작년과 달리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출발하여 한라산 정상과 한라산 둘레길 등에서 진행되었으며, 특히 112km는 국내에서 열리는 대회 중 최장거리 코스이다.

 

각 코스별 우승은 10km에 김봉주() Erica Swanson(미국/), 50km 박병권() Audrey Tanguy(프랑스/), 112kmHironori Nomoto(일본/) Kanako Edamoto(일본/) 선수가 차지했으며, 112km 우승 기록은 각각 13시간3515시간29분으로 결승점을 통과했다.


2018Trans Jeju 울트라 트레일러닝 대회는 UTMB(울트라 트레일 몽블랑), UTMF(울트라 트레일 후지) 등 세계 최고의 트레일러닝 대회를 선정하는 미디어 Ultra Trail World Tour의 대회에 선정되어 세계적인 대회로 인정 받았다.


트레일러닝 대회는 도로가 아닌 산, 오름 등 포장되지 않은 트레일을 걷거나 달리는 운동으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에는 홍콩, 일본, 중국 등 아시아에서도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30-40대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도로를 달리는 일반 마라톤보다 더 인기 있는 아웃도어 스포츠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2011년부터 시작된 제주 국제 트레일러닝 대회는 상 하반기로 나누어져 한라산, , 해안 등을 달리는 100k 스테이지 레이스인 제주국제트레일러닝대회(4)와 한라산, 한라산 둘레길 등을 달리는 112k 논스톱 레이스인 Trans Jeju 울트라 트레일 러닝 대회(10)로 진행해 오고 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번 대회를 통해 세계 각지에서 참여한 선수들의 관심과 열정을 느낄 수 있었고 올해뿐만 아니라 다음 대회에도 전하고 성공적인 대회를 치를 수 있도록 안전, 방역, 교통 관리, 원봉사자 활동 등 모든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