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민생 회복과 ‘알찬 성장’에 중점을 두고 2026년도 예산안을 7조 7,875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전년 대비 2,092억 원(2.76%) 증가한 규모로,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적극적인 재정 확대에 나선 것이다.
     
제주도는 지난달 31일 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2026년 예산안은 경기둔화 국면을 돌파하고, 도민 생활 안정과 청년․미래세대의 성장 기반 마련을 목표로 확장 재정을 적용했다.
     
소상공인 경영 안정과 청년 주거지원 등 생활 밀착형 정책을 늘리고, 농민수당 인상과 산지유통시설 확충으로 1차산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복지 분야는 손주돌봄 수당 도입, 장애인고용 촉진 장려금 확대 등 체감형 정책을 대폭 보강해 복지예산 비중이 처음으로 25%를 넘어섰다.
     
인공지능(AI) 기후재난 대응체계 구축과 디지털 신원인증, 바이오·해양치유 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100%(RE100) 기반 에너지 전환 실증 등 미래전략 사업도 본격화했다.
     
     
     
일반회계는 6조 3,58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61억원(3.18%) 확대했다. 특별회계는 1조 4,295억원으로 131억원(0.92%) 늘었다.
     
공기업특별회계는 73억원 감소했고, 기타특별회계는 204억원 증가했다.
     
지방채 발행은 4,500억원 규모(지역개발채권 포함 시 4,820억 원)로 전년보다 2,300억원 늘려 경기 대응 재원을 확보했다.
     
장기침체에 빠진 건설경기 부양과 공공서비스 인프라 확충에 과감하게 재정을 투입해 지역경제의 역동성을 살리려는 것이다.
     
내부자금으로는 통합재정안정화기금 1,100억원과 지역개발기금 400억원을 추가 활용한다.
     
     
제주도는 지방세수 감소에 직면한 재정 환경에서도 지출 구조를 정비해 성과 중심의 예산편성을 강화했다.
     
해외시찰·행사성 경비 등 불요불급한 비용을 축소하고, 보조사업과 대규모 투자사업은 사전 평가를 통해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했다.
     
     
분야별로는 일반행정 분야는 예산 절감 노력 등으로 감소폭(△9.47%)이 가장 컸고, 문화 및 관광 분야가 전국체전, 문화·체육 인프라 조성 등으로 증가율(13.33%)이 가장 높았다.
     
사회복지 분야는 국비․신규사업 확대로 전년 대비 1,855억원이 늘어 처음으로 예산 비중 25%를 넘어섰다.
